본문 바로가기
알고리즘

[알고리즘] DFS (깊이 우선 탐색)

by code_killer 2024. 4. 3.
728x90
반응형

1. Depth First Search (DFS, 깊이 우선 탐색)

1. 완전 탐색 알고리즘
 -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는 알고리즘
2. 한 루트로 최대한 깊이 탐색하는 방식
 - 트리나 그래프에서 한 루트로 쭉 탐색하다가 끝에 도달하면 다시 이전으로 돌아와서 다른 루트로 가는 방식
 - 미로 찾기에서 한 방향으로 쭉 가다가 막히면, 다시 이전 분기점으로 돌아와서 다른 방향으로 가보면서 모든 루트를 탐색하는 방식

출처 : 위키백과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A%B9%8A%EC%9D%B4_%EC%9A%B0%EC%84%A0_%ED%83%90%EC%83%89#/media/%ED%8C%8C%EC%9D%BC:Depth-First-Search.gif

 

2. 장점

1) 저장 공간의 수요가 비교적 적다.
 - 현 경로상의 노드들만 기억하면 되므로
2) 목표 노드가 깊은 단계에 있을 경우, 해를 빨리 구할 수 있다.

 

3. 단점

1) 해가 없는 경로에 깊이 빠질 가능성이 있다.
 - 미리 지정한 임의의 깊이까지만 탐색하고 목표 노드를 발견하지 못했다면, 다른 경로를 따라 탐색하는 방식이 유용할 수 있다.
2) 얻어진 해가 최단 경로가 된다는 보장이 없다.
 - 경로가 다수인 경우, 탐색한 거리가 최단 거리라고 보기는 힘들다.

 

4. 구현

 1) 재귀 방식

  • 주로 사용하는 방식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
using namespace std;

bool visited[11];
vector<int> graph[11];

void dfs(int current_node)
{
	visited[current_node] = true;	// 방문 여부 체크
	cout << current_node << " ";	// 현재 노드 출력

	for (int index = 0; index < graph[current_node].size(); index++)
	{
		int next_node = graph[current_node][index];
		if (visited[next_node]) continue;	// 방문한 노드라면 넘어가기
		dfs(next_node);	// 다음 노드 탐색
	}
}

int main() {
	// graph 생성
	graph[1].push_back(2);
	graph[1].push_back(5);
	graph[1].push_back(9);

	graph[2].push_back(3);

	graph[3].push_back(4);

	graph[5].push_back(6);
	graph[5].push_back(8);

	graph[6].push_back(7);

	graph[9].push_back(10);

	// DFS (깊이 우선 탐색) 알고리즘
	dfs(1);

	return 0;
}

 

 2) Stack 방식
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stack>

using namespace std;

bool visited[11];
vector<int> graph[11];

void dfs(int start_node)
{
	stack<int> s;
	s.push(start_node);
	visited[start_node] = true;
	cout << start_node << " ";

	while(!s.empty())
	{
		int current_node = s.top();
		s.pop();

		for (int index = 0; index < graph[current_node].size(); index++) {
			int next_node = graph[current_node][index];

			if (visited[next_node]) continue;

			cout << next_node << " ";
			visited[next_node] = true;

			s.push(current_node);
			s.push(next_node);
			break;
		}
	}
}

int main() {
	// graph 생성
	graph[1].push_back(2);
	graph[1].push_back(5);
	graph[1].push_back(9);

	graph[2].push_back(3);

	graph[3].push_back(4);

	graph[5].push_back(6);
	graph[5].push_back(8);

	graph[6].push_back(7);

	graph[9].push_back(10);

	// DFS (깊이 우선 탐색) 알고리즘
	dfs(1);

	return 0;
}

 

5. 알고리즘 구조

아래 3가지 순서로 나눌 수 있다.

1) 방문 여부 체크
2) 기저 조건
3) 다음 노드 탐색
void dfs(int current_node)
{
	// 1. 방문 여부 체크
	visited[current_node] = true;	// 방문 여부 체크

	// 2. 기저 조건
	if (current_node == 7) {
		cout << "7번 문 탈출!!";
		return;
	}

	// 3. 다음 노드 탐색
	for (int index = 0; index < graph[current_node].size(); index++)
	{
		int next_node = graph[current_node][index];
		if (visited[next_node]) continue;	// 방문한 노드라면 넘어가기
		dfs(next_node);	// 다음 노드 탐색
	}
}

 

 

6. DFS 문제 모음집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6724

 

16724번: 피리 부는 사나이

첫 번째 줄에 지도의 행의 수를 나타내는 N(1 ≤ N ≤ 1,000)과 지도의 열의 수를 나타내는 M(1 ≤ M ≤ 1,000)이 주어진다. 두 번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의 정보를 나타내는 길이가 M인 문자열이 주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466

 

9466번: 텀 프로젝트

이번 가을학기에 '문제 해결' 강의를 신청한 학생들은 텀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. 프로젝트 팀원 수에는 제한이 없다. 심지어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팀의 팀원인 경우와 같이 한 팀만 있을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239

 

2239번: 스도쿠

스도쿠는 매우 간단한 숫자 퍼즐이다. 9×9 크기의 보드가 있을 때, 각 행과 각 열, 그리고 9개의 3×3 크기의 보드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중복 없이 나타나도록 보드를 채우면 된다. 예를 들어 다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87

 

1987번: 알파벳

세로 $R$칸, 가로 $C$칸으로 된 표 모양의 보드가 있다. 보드의 각 칸에는 대문자 알파벳이 하나씩 적혀 있고, 좌측 상단 칸 ($1$행 $1$열) 에는 말이 놓여 있다. 말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네 칸 중의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736

 

21736번: 헌내기는 친구가 필요해

2020년에 입학한 헌내기 도연이가 있다. 도연이는 비대면 수업 때문에 학교에 가지 못해 학교에 아는 친구가 없었다. 드디어 대면 수업을 하게 된 도연이는 어서 캠퍼스 내의 사람들과 친해지고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502

 

14502번: 연구소

인체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연구소에서 바이러스가 유출되었다. 다행히 바이러스는 아직 퍼지지 않았고,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연구소에 벽을 세우려고 한다. 연구소는 크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888

 

14888번: 연산자 끼워넣기

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2 ≤ N ≤ 11)가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A1, A2, ..., AN이 주어진다. (1 ≤ Ai ≤ 100) 셋째 줄에는 합이 N-1인 4개의 정수가 주어지는데, 차례대로 덧셈(+)의 개수, 뺄셈(-)의 개수, 곱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99

 

728x90